프로젝트가 끝났지만 취준하는 동안 네트워크 및 리눅스에 대한 기초를 다시 다지고자
글을 쓰게 되었다. 왜냐하면 IT 직무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서버 운영 쪽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특히 이 부분이 크게 작용할거라 생각했다.
---------------------------------------------------------------------------------------------------------------------------------
*네트워크 종류
LAN – 장치 간 통신, 허브스위치 & IP주소 할당만 된다면 통신 가능
WAN – LAN 간 통신 , 라우터를 통해 경로를 설정하여 통신, 인터넷도 WAN임
*Packet Tracer
왼쪽 네트워크가 LAN / 스위치 포트 24개
PC 에 192.168.1.X 네트워크 주소 할당 //
pc0과 pc1 각각 192.168.1.10, 192.168.1.20 할당
서버에 주소를 정적으로 할당 그리고 메세지 버튼을 눌러서 통신을 확인해보면,
enable: 관리자 권한 모드
configure terminal: 라우터 설정 변경위해 글로벌 모드 진입
interface GigabitEthernet0/0, GigabitEthernet0/1 : 해당 인터페이스로 진입
ip address 192.168.2.1 255.255.255.0: ip 주소할당 / 뒤에 있는 주소는 서브넷 마스크
no shutdown: 인터페이스 활성화
*WireShark
7~6 계층 정보
4계층 정보 // 3-way handshaking 생각하면 됨
http://blueweb.com 접속한 결과 포트번호 80(http)가 뜨는 것을 확인
Ip 주소 (위 Src와 Dst 주소가 밑 주소와 매칭되는 것을 확인)
2~7 계층 정보가 들어있고 이게 하나의 프레임!! 그리고 위 정보들이 헤더정보들
다시 패킷트레이서로 들어오면,
왼쪽 랩탑부터 오른쪽 서버까지 가기의 프레임 형태
무선랜을 통해 wireless LAN으로 가고 스위치로 갈 때 이더넷2의 형태로 가는 중
그리고 스위치에서 나오고 라우터로 갈 때 HDLC로 바뀜 그리고 다시 이더넷2로!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해당 ip주소를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로 변환해주는 프로토콜
(RARP - MAC주소를 ip주소로 역변환)
단점) 브로드캐스트로 인해 네트워크 내 모든 주소들이 번환됨 -> 리소스 고갈 / 보안문제(디도스)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NA 취득!! (0) | 2025.05.08 |
---|---|
Network IV - NAT, Security , VPC (0) | 2025.03.16 |
Network III - OSPF, ACL (2) | 2025.03.14 |
Network ll - Subnetting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