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l System Component
1. MTA (Mail Transfer Agent)
2. MUA (Mail User Agent)
3. MDA (Mail Delivery Agent)
4. MRA (Mail Retrieval Agent)
-Rocky 1 들어가서
cloudwave.zone 하고 psh.zone에서 다음을 추가
(메일 서버 설정 / cloudwave.zone은 12번 줄에서 192.168.152.129 첫 번째 서버주소 집어 넣음)
그리고 named 재시작
출력 확인!
-SMTP 접속하고 Base64 사이트 들어가서 admin과 1234를 인코딩 실행
이렇게 치면 밑에 인증이 성공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문제점이었던 부분 SMTP 주석 처리 잘해야 함!!
Postfix smtp-auth 이 부분에 주석을 해야 하는데 그냥 넣어버려서 에러가 남
-우분투 상 두 개의 이메일 생성하고 주고 받기
-썬더버드에서 실수한 것!!
우분투2에서 2번째 서버인줄 알고 192.168.152.130을 ipv4 연결을 해서 로그인 할 때 수동으로 입력하라는 창이 나왔다. 당연히 우린 도메인 서버가 첫 번째 서버로 이용하기에 우분투2도 똑같이 .129로 설정해야 로그인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130으로 설정하면 안됨!!!
-RoundCube
MySQL – Mariadb 서로 호환 가능하기에 MySQL 사용
그리고 round@localhost이니 로컬 호스트명은 round로 정정
user admin
password 1234
sender admin@cloudwave.com
recipient admin2@cloudwave.com
> SMTP 통신
URL에서 rc까지 남기면 로그인 창 나오고 로그인한 화면
-배포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 NAT GateWay 이용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선 퍼블릭 서버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5개 이상 못 만들이기에 다른 사람이 만든 NAT GW 이용
퍼블릭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들어가서 인터넷 게이트웨이 (Cloudwave VPN) 연결
프라이빗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들어가서 NAT GW 연결
-MySQL
1. Mysql 접속
2. guestbook 데이터 베이스 생성
3. 계정 admin 생성
4. guestbook 에 대한 권한을 admin에게 부여하겠다.
여기서 mvnw 파일에 사용자 허가권 주고 클린하자
chmod u+w mvnw
./mvnw clean package
자바파일 생성 (스프링 부트) -> sudo 이용하여 설치하자
퍼블릭 서버 보안그룹에서 http 포트 열어주자
그 결과 공인 ip 주소로 접속하는 것을 확인
-로그
: 발생한 이벤트(장애, 에러, 해킹)에 대하여 남긴 기록
시스템 로그 /var/log/messages 밑에 하위 로그들을 분류해놓음
rsyslog: 로그를 기록하는 데몬
logger: 로그를 빠르게 발생시키는 유틸리티
Selector -> facility와 level로 분류
facility: 어디서 누가 이벤트 발생
level: 이벤트의 정도
err 이상이면 심각하다고 보믄 됨 (err ~ crit 기록 多)
-rsyslog rule 추가
warn 수준의 로그를 발생시켰더니 testlog에 기록됨
하지만, warn 보다 수준 낮은 info를 했더니 기록 안 됨
날짜 잘못 칠 경우 이렇게 부트로그에 잘못된 날짜와 관련하여 뜨는 거 확인
rsyslog.conf 에서 20-21 25-26 주석 제거 -> 외부에서 들어오는 로그 기록
tcp와 udp 모두 들어온 것 확인
(rocky1만 열기 rocky2는 보내기만 하기 때문에 주석 제거할 필요 X)
-rocky2에서 rocky1으로 info이상의 로그 전송
@는 udp , tcp는 @@
-rocky1에서 들어온 거 확인
-tcp
rsyslog랑 sshd 리스타트 했을 때 보내지는 거 확인가능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lll - NFS (0) | 2025.03.25 |
---|---|
Linux ll - SSH, LVM, Tar (0) | 2025.03.24 |
Linux I - Baseline (Setting, SSH) (1)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