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정보통신

통신공학 이론정리 II

by 스마일엔지니어 2025. 4. 2.
728x90

1.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 음성전화 서비스

- 영상회의 서비스

- 통합메세지 지원 서비스

 

2. 가상화된 운영체제 위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독립적인 실행에 필요한 파일을 모은 패키지는?

 

- 컨테이너(Container)

 

3. 현실에 존재하는 객채를 컴퓨터 상에 디지털 데이터 모델로 표현하여 똑같이 복제하고 실시간으로 서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은?

 

- 디지털 트윈 (Digital Twin)

 

4. 서명자의 신원과 서명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전자문서에 첨부되거나 논리적으로 결합된 전자형태의 정보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디지털 메시지 또는 문서에 대한 진위성, 무결성, 부인방지 특성을 제공한다.

 

- 전자 서명

 

5. 암호화한 데이터를 복호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산할 수 있는 암호화 방식이다. 암호화한 상태에서의 연산 결과는 마찬가지로 암호화된 형식이며, 이를 복호화하여 얻은 평문은 연산에 이용된 암호문이 암호화되기 전 원래 데이터 간의 연산 결과와 같다.

 

- 동형 암호

 

6. 전기,전자 기기 또는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비의도성 전도와 복사에 의한 전자파에 장해를 받지 않도록 설계된 성능을 유지하고 아울러 다른 전기,전자 기기 또는 시스템에 장해가 될 에너지를 방출하지 않는 성능을 일컫는다.

 

- 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7. 스마트 안테나 기술 중 하나로 여러 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페이딩 현상, 채널 손실 그리고 간섭을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핵심 기술로 선행 부호화, 공간 다이버시티, 공간 다중화가 있다.

 

- MIMO (Multi Input Multi Output)

 

8. 심층 웹(deep web)보다 접근이 더 어려운 웹사이트로, 일반 인터넷 검색에 엔진되지 않고 특정 환경 브라우저에서만 접속된다. 

 

- 다크 웹(dark web)

 

9. 무선통신 송신기의 증폭기 전력 효율이란 입력 대비 출력 전력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증폭됐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다.

출력전력/입력전력 x 100% 으로 계산된다.

 

10. 디지털 미디어 불법 또는 비인가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저작권 혹은 판권 소유자가 이용하는 접근 제어 기술이다.

 

- 디지털 저작권 관리 (DRM, Digital Right Management)

 

11. PLL 약어 : Phase Locked Loop

 

12. 공통선 신호망에서 신호선(SP) 간 신호 정보 전달을 중계해주는 패킷 교환을 통해 입력된 신호 메세지를 판별하여 각 목적별로 라우팅 및 분배기능을 수행한다.

 

- STP (Signaling Transfer Point)

 

13. 고강도의 전자파 펄스로 전자장비를 무력화시키는 공격이다. 핵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공격과 그걸 사용하지 않는 비핵공격으로 구분된다.

 

- EMP (Electro Magnetic Pulse)

 

14. 개인용 스마트 기기에서 패스워드 방식보다 간편하고 보안성 높은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개방형 인증 표준 기술이다. 크게 UAF와 U2F 표준으로 나뉜다.

 

- FIDO (Fast Indentity Online)

 

15. 정부 통합전산센터가 늘어나는 정보 자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한 범정부 공동 활용형 정보자원 시스템이다. 이걸 통해 각 부처에 제공하는 비용이 크게 줄고 부처 간 중복 투자 위험도 방지할 수 있다.

 

- G-Cloud (Government)

 

16.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태는 매트릭스 형태의 2차원 바코드의 한 가지로 일반 바코드보다 인식속도와 인식률, 복원력이 뛰어난다.

 

- QR코드 (Quick Response)

 

17. 텔레비전 방송용으로 분배된 주파수 대역 중 방송사업자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이다. 동일 채널 혼신을 피하기 위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수신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 누구나 사용이 가능한 면허가 필요없는 주파수 대역이다.

 

- White Space

 

18. 3GPP의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eNB)간 정보 교환 인터페이스이다. 주요 핸드오버 관련 정보, 셀 간 간섭 제거를 위한 인터셀 인터퍼런스(ICI) 정보가 있다.

 

- X.2 인터페이스

 

19. 대용량 데이터 분산 처리 플랫폼의 약자로 다수의 범용 컴퓨터를 연결하여 하나의 시스템처럼 작동하도록 묶어 대용량의 다양한 데이터를 분산처리하는 공개 소스 프레임워크이다.

 

- 하둡(Hadoop)

 

20. 산업, 과학, 의료용 기기에 사용하기 위해 지정된 주파수 대역이다.

 

- ISM 대역 (Industry, Science, Medical)

 

21. 개인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일부 또는 전체를 대체하여 추가 정보의 사용, 결합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한 정보이다. 개인정보 일부를 삭제하거나 암호화하여 프라이빗 마스킹으로 대체하여 처리한다.

 

- 가명정보

 

22. FWHM의 약어: Full Width Half Maximum

 

23. 통신공동구를 설치할 때 유지/관리에 필요한 부대 설비 5가지

 

- 환기설비

- 배수설비

- 조명설비

- 소방설비

- 접지설비

 

24.

(1) 마이크로밴딩: 광 케이블 생산 시 미세한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

(2) 매크로밴딩: 광 케이블 최초 포설시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

 

25.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 3가지

 

- 특성 임피던스: 안테나 자체가 갖는 고유 임피던스

- 이득: 기존 안테나 대비 전계강도 증가를 나타낸 값 

- 지향성: 특정 방향으로 전파를 더 많이 보내는 특성

 

26.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 소규모 회선 또는 네트워크들로부터 데이터를 모아 고속의 대용량으로 전송할 수 있는 대규모 전송회선 및 통신망이다. 소규모의 LAN 등 데이터망으로부터 생성되는 트래픽을 운반하기 위해 WAN에서 주요 교환노드를 직접  연결하는 고속의 전용회선을 의미한다.

 

- 백본망

 

27. 인접한 안테나 소자 길의 비나 간격의 비가 일정한 세로형 안테나 열의 사용주파수 대역내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특성이 있는 광대역 안테나이다. 임피던스 및 방사 특성이 주파수의 대수에 대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 같은 구조 형상을 가진 안테나이다.

 

- 대수주기형 안테나 (로그주기형 안테나)

 

28. 공통접지의 특징

 

- 독립접지에 비해 시설비, 공사비가 절감된다.

- 신뢰도가 향상된다.

- 접지가 단순화되고 수량이 감소한다.

- 접지저항값을 용이하게 얻는다.

- 별도의 접지 계통이 필요하지 않아 설비가 간단하고 보수가 편리하다.

- 재해를 줄일 수 있다.

 

29. 정보통신 공사에서 가공선 선로 배선 시 저압의 강선이 교차할 경우 이격거리는 60cm이다.

 

30. 최소 2개의 다른 클라우드 배포 모델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배포 모델이다. 강력한 보안 기능과 통제력을 제공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비용 효율성을 가진 퍼블릭 클라우드, 공통 목적을 위한 제공 효율성을 가진 커뮤니티 클라우드를 2개 이상 결합한 클라우드이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멀티 클라우드는 서비스 가용성을 높이고 벤더 종속성 회피 목적에 있다.

 

31.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서버를 위치시켜 데이터가 수집되는 현장에서 바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초저지연성을 제공하고 초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저장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컴퓨팅 방식이다. 5G 또는 LTE 등의 이동통신 망에서 이동통신 기지국과 가까운 거리에 데이터 처리와 저장을 위한 서버 등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하여 제공한다. 통신망의 종단 장치(Edge Device)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바로 처리하고 연산 결과를 적용하므로 통신 지연 시간이 짧고 보안 측면에서 우수하다.

 

- 엣지 컴퓨팅

 

32. 전자파에 노출된 인체 조직에 흡수되는 단위 질량당 에너지의 시간율로 단위는 W/kg 이다. 낮은 주파수 대역(1 Hz ~ 100 kHz)의 전자파에 사람이 노출되면 전류가 유도되고 이로 인해 신경을 자극하는 작용이 발생한다. 반면에 높은 주파수 대역(100 kHz ~ 10 GHz)의 전자파에 사람이 노출되면 인체 조직의 온도가 상승하는 열적 작용이 발생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는 인체에 열적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이 전자파를 인체가 얼마나 흡수하는지를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수치이다.

 

- SAR (Specific Absorption Rate)

 

33. 정보통신공사에서 감리의 요령 

 

- 관계법령을 준수하여 공공복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 공사에 있어 제 3자에게 금품을 받아선 안된다.

- 공사에 문제 발생 시 발주자에게 수시로 보고하고 지시받는다.

// 감리원의 업무 범위

- 공사계획 및 공정표 검토

- 설계 도서 및 관련 규정 기반 공사 상황 감독 및 관리

- 설계 변경사항 검토

- 공사 원자재 적합성 검토

- 하도급 적정성 검토

 

 

34. 정보통신공사에서 선로 배선 시 수직배선과 수평배선 할 때 고려사항 3가지

 

- 성형배선준수

- 집중구 내 통신실 면적 준수

- 구내통신선로설비 기술기준 준수

 

35. HDLC 프레임

 

- 시작플래그 8 bit

- 주소부 8 bit

- 제어부 8 bit

- 정보부 임의 bit

- FCS 16 bit

- 종료 플래그 8 bit

 

 

 

 

 

 

 

728x90

'IT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공학 이론정리 V  (0) 2025.04.05
통신공학 이론정리 IV  (0) 2025.04.04
통신공학 이론정리 III  (0) 2025.04.03
통신공학 이론정리 I  (0) 2025.04.01
정보통신기사 필기합격!  (4) 2025.03.16